Ghost 명령어를 한번 알아 볼까요?
ghost -clone,mode=pdump,dst=1:2,src=1:3\파일이름.Gho:1 -sure -rb -auto -split=640
-clone,mode=copy, <- hard to hard 즉 하드를 그대로 복사할때의 옵션
-clone,mode=pcopy, <- 파티션에서 파티션으로 그대로 복사
-clone,mode=load, <- 이미지 파일에서 하드전체를 복사
-clone,mode=pload, <- 이미지를 불러와 파티션으로 복사
-clone,mode=dump, <- 하드를 이미지로 작성
-clone,mode=pdump, <- 파티션을 이미지로 작성
ghost -clone,mode=pdump,dst=1:1, <- 1번째 하드 1번째 파티션을 Source파티션으로
ghost -clone,mode=pdump,dst=1:2, <- 1번째 하드 2번째 파티션을 Source파티션으로
ghost -clone,mode=pdump,dst=2:3, <- 2번째 하드 3번째 파티션을 Source파티션으로
ghost -clone,mode=pdump,dst=1:1,src=1:2 <- 1번째하드 1번째 파티션을
1번째하드 2번째 파티션에 이미지로 작성
ghost -clone,mode=pdump,dst=1:1,src=1:3 <- 1번째하드 1번째 파티션을
1번째하드 3번째 파티션에 이미지로 작성
ghost -clone,mode=pdump,dst=2:1,src=1:3 <- 2번째하드 1번째 파티션을
1번째하드 3번째 파티션에 이미지로 작성
*** src=1:3\backup.gho :1 <- 이부분을 정확히 입력하세요 중요합니다. 복원시에만 입력 ***
여기까지는 기본적으로 꼭~! 적어주어야만 하는 명령어 입니다.
그다음엔 말 그대로 Option입니다. 없어도 되고 있어도 되는 부가기능 정도?
-sure <- 영어로 "물론"이라는 뜻으로 중간중간에 Yes를 자동으로 해주는 명령어
ghost -clone,mode=pdump,dst=1:2,src=1:3\파일이름.Gho:1 -sure
-rb <-Ghost 명령이 끝난후 자동으로 리부팅 하라는 옵션
ghost -clone,mode=pdump,dst=1:2,src=1:3\파일이름.Gho:1 -sure -rb
-split=640 <- 용량에 맞게 분할하여 이미지를 만들라는 명령어 기본 Mbyte임.
(-auto와 같이 사용하면 좋음 )
ghost -clone,mode=pdump,dst=1:2,src=1:3\파일이름.Gho:1 -sure -rb -split=640
-auto <- 자동으로 다음이미지의 이름을 할당해주는 명령어
ghost -clone,mode=pdump,dst=1:2,src=1:3\파일이름.Gho:1 -sure -rb -split=640 -auto
yJq7YRkCYzFPX8Z9t2atXm7kgJ8hDXHiZFRbqkJqI8o,
allowScriptAccess" value="always" /> >글에 넣기 긁어 넣기 'Ghost 명령어를 한번 알아 볼까요?' 글에 좋아!위젯 넣기아래 영역을 마우스로 긁어서 복사하신 후 글 입력창에 붙여넣으세요. 블로그 서비스에 따라 붙여넣기가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. allowScriptAccess" value="always" /> allowScriptAccess" value="always" /> >글에 넣기 긁어 넣기 'Ghost 명령어를 한번 알아 볼까요?' 글에 좋아!위젯 넣기아래 영역을 마우스로 긁어서 복사하신 후 글 입력창에 붙여넣으세요. 블로그 서비스에 따라 붙여넣기가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. 닫기